XELP
보금자리에 HomeKit을 구축하기
XELP
xelp
XELP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1)
    • IT 뉴스 (1)
    • Developer (17)
      • Android (2)
      • iOS (14)
      • Kotlin (0)
      • RxJava or RxKotlin (1)
    • 일상생활 (1)
    • 취미생활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iOS Combine
  • apple homekit
  • iOS FCM
  • CoreData
  • Xiaomi
  • FCM
  • xcode 14.3
  • homekit
  • cocoapods
  • android 14
  • reactor
  • combine
  • iOS Developer
  • XEL
  • Apple
  • SWIFT
  • 샤오미 홈킷
  • 안드로이드 14
  • Firebase message iOS
  • ios coredata
  • ReactorKit
  • rxswift
  • ios
  • 홈킷
  • Xcode
  • swift combine
  • xelpine
  • leftalignflowlayout
  • PhaseScriptExecution
  • xelp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글쓰기 / 관리자
취미생활

보금자리에 HomeKit을 구축하기

2023. 1. 31. 14:00
목차
  1. IoT의 세계로
  2. Homebridge
  3. 시놀로지 NAS에 Homebridge 설치
  4. Homebridge 설치 및 플러그인
  5. Homekit에 연결
  6. 애플 홈 허브
  7. 더 많은 IoT 기기들..

IoT의 세계로

새 집으로 이사해온지 몇 년이 지났다.

 

처음엔 그래도 큰 집이 좋다고 생각해서 큰 집을 골랐고, 실제로도 내 선택은 여전히 맞았다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집의 관리가 안되는 부분이 은근히 있었다.

 

예를들면 전기장판을 켜고 출근을 한다던가 하는 것의 문제. 더군다나 개발자로서 일을 하며 집안에 컴퓨터가 3,4대가 생기면서는 더더욱 그렇다.

 

그래서 IoT의 시대가 오고나서는 Google Home에 맞춰 집안을 컨트롤하고 있다가, iOS개발에 힘을 더 쏟게 되고 하면서 집안에 온통 사과밭이 이루어지자 나는 Apple Homekit으로의 이사를 준비했다.

 

 

 

다만, Google home을 구축하던 때와는 다른 문제가 많았다.

 

첫번째로, 국내에서 Homekit과 연동되는 제품군이 매우 적다는 것. 설사 있다한 들 매우 적은 종류일 뿐이었다.

 

하지만 막상 Homekit을 구축한 유저들을 보면 전혀 Homekit을 지원하지 않는 제품군들로도 구성을 한 사람들이 많기에 천천히 알아본 결과,

 

Homekit을 지원하는 제품군은 Homekit에 바로 연결을,

 

Homekit을 지원하지 않으나 브릿지를 통해 제공하는 제품군은 브릿지를 Homekit에 연결 후 제품들을 브릿지에 연결하는 구조였다.

 

이마저도 싫다면 Homebridge를 구축하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Homebridge

 

 

GitHub - homebridge/homebridge: HomeKit support for the impatient.

HomeKit support for the impatient. Contribute to homebridge/homebridg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개발자들은 대단하다.

 

경량 Node.js 서버라고하는 이 홈브릿지는 Homekit의 브릿지가 될 수 있으며,

 

또한 각종 플러그인을 npm으로 제공하여 설치하고 json파일을 수정하여 연동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수많은 제품군들 (특히 샤오미 제품군) 이 인증받은 플러그인으로 존재했다.

 

홈브릿지를 설치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다음은 설치할 위치다.

 

보통은 라즈베리파이로 구축하거나 NAS 등, 집 내부에 항시 존재하며 동시에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비에 설치해야 했다.

 

나는 시놀로지 NAS를 운영중이기에 시놀로지 NAS에 만들기로 했다.

 

 

 

시놀로지 NAS에 Homebridge 설치

 

Docker를 통하거나 시놀로지 패키지 매니저에서 설치할 수 있다.

 

위 유튜버의 영상으로 쉽게 따라할 수 있다.

 

 

 

Homebridge 설치 및 플러그인

설치가 완료된 모습이다.

 

Homebridge를 구성 후 관련된 포트들 역시 포트포워딩으로 열어주고 작업했다.

 

이제 이 브릿지는 Homekit과 연결될 수 있고, 이 Homebridge에 각종 플러그인을 통해 기기들을 연결해주면 된다.

 

플러그인 탭에서 여러 플러그인을 검색하여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사용법은 플러그인마다 다르기에 플러그인의 사용 URL을 방문하여 찾아보길 권한다.

 

샤오미 외에도 LG ThinQ 역시 목록에 존재했으며 Meross, Aqara 등 기존 브릿지들의 에뮬레이터들도 존재하는 듯 하다.

 

 

 

Homekit에 연결

Homebridge를 Homekit에 연결했다.

 

일단은 기존에 Homebridge와 호환이 가능한 제품들을 먼저 연결해줬다.

 

정상적으로 기기들이 동작한다.

 

나는 집안에 애플기기만 총 7대가 존재하는데 (아이맥 1, 맥북 2, 아이패드 2, 아이폰 1, 애플워치 1, 애플티비 1..) 이제 어느곳에서든 시리를 통해 집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애플 홈 허브

Homebridge와 Homekit을 연결했다고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니다.

 

Homebridge는 Homekit과의 연동을 담당했을 뿐이다. 즉, 내부망에서 IoT제품들을 컨트롤한다는 것.

 

마치 구글 홈에서 구글 홈 허브가 외부의 값을 전달받아 집안 기기들에게 명령을 전달해주는 것 처럼,

 

애플 역시 홈허브가 되어야 할 기기가 있어야 한다.

 

애플의 홈페이지를 보면, 홈허브가 가능한 기기는 애플TV, 홈팟(홈팟 미니 포함), 아이패드 (집안에서 절대 이동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이다.

 

다만 이 중에서 아이패드는 iOS 14 이후 지원이 중단되었으며 그전에도 사실 제대로 동작하진 않았다고 한다.

 

더불어 아이패드는 화면도 끄지 않은 채로 유지해야 한다니 사용에 좀 어려움이 있었을 듯 하다.

 

나는 홈허브를 위해 애플TV를 추가했다. 이제 모든 것이 완벽하게 준비되었다.

 

나는 거실에 설치한 LG 스마트 TV에서도 애플TV가 존재하지만, 확실히 하드웨어 성능적으로 우월한 이 녀석이 재생해주는 게 더 빠릿빠릿하게 반응하는 점은 좋았다.

 

이렇게라도 24만원의 가치를 느껴야지 어쩌겠어.

 

 

 

더 많은 IoT 기기들..

 

지름엔 끝이 없다고, 그새 새로운 제품들을 더 들이기 위해 여러녀석을 구매했다.

 

특히 나는 콘센트에 관련된 자동화를 많이 원하기에 이 부품들이 얼른 도착하길 손꼽아 기다린다.

 

 

  • IoT의 세계로
  • Homebridge
  • 시놀로지 NAS에 Homebridge 설치
  • Homebridge 설치 및 플러그인
  • Homekit에 연결
  • 애플 홈 허브
  • 더 많은 IoT 기기들..
XELP
XELP
iOS, Android Developer
xelpiOS, Android Developer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